맨위로가기

산조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조 천황은 레이제이 천황의 차남으로, 1011년부터 1016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67대 천황이다. 황태자 시절 이치조 천황보다 나이가 많아 '사카사노 모케노키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압력으로 장남이 아닌 이치조 천황의 차남이 황태자가 되었으며, 시력 감퇴로 40세의 나이에 양위했다. 42세에 출가 후 사망했으며, 묘소는 기타야마릉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7년 사망 - 왕단 (북송)
    왕단은 북송 시대의 관료이자 재상으로, 과거에 수석 합격 후 송 진종의 신임을 얻어 요직을 역임하며 중앙 정치에서 활약했고, 재상 재임 중 과거 제도 발전과 인재 등용을 통해 북송 발전에 기여했다.
  • 1017년 사망 - 김은부
    김은부는 신라 왕실 후손으로, 고려 현종의 장인으로서 세 딸을 왕비로 들여 막강한 왕실 외척이 되었고, 현종을 극진히 맞이한 것을 계기로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주요 관직을 역임했으며, 사후 추충수절창국공신에 추증되고 안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1세기 일본의 군주 - 고산조 천황
    고산조 천황은 후지와라 씨 외척 없이 즉위하여 친정을 통해 황실의 경제 기반을 강화하고 지방 통치를 강화하는 등 '엔큐의 선정'을 이끌었으며, 후지와라 섭정가의 몰락과 황실 권위 강화에 기여했다.
  • 11세기 일본의 군주 - 호리카와 천황
    호리카와 천황은 시라카와 천황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시라카와 상황의 원정 정치 하에서 학문과 예술에 심취했으며, 그의 아들이 도바 천황으로 즉위했다.
산조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간노 쓰네노부의 산조 천황 초상화, 에도 시대
간노 쓰네노부의 산조 천황 초상화, 에도 시대
이름산조 천황
일본어三条天皇
로마자 표기Sanjō-tennō
이야사다 (Iyasada) / 오키사다 (Okisada)
추호산조인 (Sanjōin) 또는 산조 천황 (Sanjō-tennō)
재위
즉위1011년 7월 16일
퇴위1016년 3월 10일
화력 재위 기간간코 8년 6월 13일 - 조와 5년 1월 29일
즉위례1011년 11월 13일 (간코 8년 10월 16일)
대嘗祭 (다이죠사이)1013년 1월 6일 (조와 원년 11월 22일)
시대헤이안 시대
연호간코
조와
수도헤이안쿄
황궁헤이안 궁
능묘기타야마 능 (北山陵)
가계
아버지레이제이 천황
어머니후지와라노 초시
배우자후지와라노 세이시
후지와라노 겐시
자녀아쓰아키라 친왕
아쓰노리 친왕
아쓰히라 친왕
마사코 내친왕
시시 내친왕
성신 입도 친왕
데시 내친왕
출생과 사망
출생일976년 2월 5일
출생지헤이안쿄 (교토)
사망일1017년 6월 5일
사망지산조인 (三条院), 헤이안쿄 (교토)
매장지기타야마노 미사사기 (北山陵) (교토)
기타 정보
왕가일본 황실
선대 천황이치조 천황
계승 천황고이치조 천황

2. 연보

연도 (서력)연도 (일본 연호)날짜 (음력/양력)내용
976년덴엔 4년레이제이 천황뇨고 후지와라 쵸시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가 7세 때 사망하자 외조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저택에서 자랐다.[21]
986년간나 2년7월 16일 / 8월 23일6월 23일 가잔 천황이 출가하고 7세의 이치조 천황이 즉위하자, 11세의 나이로 황태자(도궁)가 되었다. 이는 레이제이와 엔유 두 계통이 번갈아 즉위하는 양통질립 원칙에 따른 것이었으나, 황태자가 천황보다 나이가 많아 거꾸로 된 황태자라는 의미의 사카사노 모케노키미(逆さの儲けの君일본어)라는 별명을 얻었다.[9][10][21] 외조부 가네이에의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23]
989년에이소 3년숙모인 후지와라노 스이시가 동궁비로 입궁했다.
991년쇼랴쿠 2년후지와라노 스미토키의 딸 후지와라노 세이시가 입궁했다.
994년쇼랴쿠 5년세이시 소생의 장남 아쓰아키라 친왕이 태어났다.
995년쇼랴쿠 6년외숙 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의 딸 후지와라노 겐시가 입궁했으나, 스이시와 겐시는 일찍 사망했다.
1010년간코 7년외숙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 후지와라 겐시가 입궁했다.
1011년간코 8년6월 13일 / 7월 16일이치조 천황이 재위 25년 만에 양위하자, 36세의 나이로 제67대 천황으로 즉위했다(센소, 소쿠이).[11]
6월 22일 / 8월 29일이치조 상황이 3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8월 23일 / 8월 30일후지와라노 미치나가에게 우마차를 타고 황궁으로 들어오는 특권을 부여했다.[9]
10월 24일 / 11월 28일아버지 레이제이 상황(다이죠 덴노)이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3]
이치조 천황의 차남 아쓰나리 친왕(고이치조 천황)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본래 산조 천황의 장남 아쓰아키라 친왕이 황태자가 되어야 했으나, 외손자의 즉위를 서두르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강력한 압력으로 아쓰나리 친왕이 책봉되었다.[14][21]
1012년조와 원년연호를 조와(長和)로 개원했다.
8월오랜 반려였던 후지와라노 세이시를 황후로 책봉하고,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 겐시를 중궁으로 삼아 두 명의 정실을 두는 상태가 되었다. 이는 미치나가와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6][21]
1013년조와 2년3월일본의 주요 21개 사찰에 곡물을 봉납했다.[15]
중궁 겐시가 딸 데이시 내친왕을 낳았다. 아들을 원했던 미치나가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21]
9월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저택을 방문했다.[15]
11월이와시미즈 하치만궁을 참배했다. 이후 천황들이 매년 이곳을 참배하는 관례의 시초가 되었다.[15]
12월가모 신사를 참배했다. 이 역시 이후 천황들의 연례 참배 관례로 이어졌다.[15]
12월중궁 소속 무관 후지와라노 마사노부가 후지와라노 고레카네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미치나가는 고레카네를 투옥시켰다.[15]
1014년조와 3년2월 9일 / 3월 12일황궁이 화재로 소실되었다.[15]
5월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저택을 방문하여 승마와 궁술을 즐겼다.[15] 이 무렵부터 안질을 앓기 시작했는데, 연단술에 따른 선단 복용 부작용이라는 설이 있다.[24]
1015년조와 4년9월소실되었던 황궁이 재건되었다.[15]
10월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50세 생일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15]
11월재건된 황궁이 다시 화재로 소실되었다.[25][15]
1016년조와 5년1월 29일 / 3월 10일안질이 악화되고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계속된 양위 압력에 시달렸다. 결국 장남 아쓰아키라 친왕을 황태자로 세운다는 조건을 걸고 황태자 아쓰나리 친왕(고이치조 천황)에게 양위했다. 재위 기간은 6년이었으며, 태상천황(다이죠 덴노)이 되었다.[16][17]
고이치조 천황이 9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1017년간닌 원년4월 23일 / 5월 21일고이치조 천황의 즉위를 기념하여 연호를 간닌(寛仁)으로 개원했다.[18]
4월 29일 / 5월 27일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다.[9]
5월 9일 / 6월 5일42세(만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양위 후 머물던 산조인(三条院)의 이름을 따 산조인(三条院)이라는 법명을 얻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산조 천황으로 불리게 되었다.
8월 9일황태자 아쓰아키라 친왕이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무언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황태자 자리를 사퇴했다. 이로써 레이제이-엔유 양통질립은 끝나고 황위는 엔유 천황의 직계로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산조 천황의 딸 데이시 내친왕이 낳은 아들이 훗날 고산조 천황으로 즉위하면서 산조 천황의 혈통은 황실에 계속 이어졌다.



산조 천황의 무덤은 교토시에 있는 '''기타야마노 미사사기'''(北山陵)로 비정되어 궁내청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1]

3. 생애

레이제이 천황의 둘째 아들로 덴엔 4년(976년)에 태어났다.[6] 어머니 후지와라노 초시가 일찍 세상을 떠나고 아버지 레이제이 천황마저 정신 질환을 앓아,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다. 간나 2년(986년), 가잔 천황이 갑작스럽게 퇴위하고 어린 이치조 천황이 즉위하자, 11세의 나이로 황태자가 되었다. 이는 당시 레이제이 계통과 엔유 계통이 번갈아 황위를 잇는 양통질립의 관례와 외할아버지 가네이에의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한 결과였다.[23] 하지만 황태자가 천황보다 나이가 많아 '거꾸로 된 황태자'라는 뜻의 '''사카사노 모케노키미'''(逆の儲けの君일본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간코 8년(1011년) 6월, 이치조 천황이 병으로 양위하면서 36세의 나이로 마침내 황위에 올랐다.[11] 그러나 즉위 과정에서부터 당대 최고 권력자였던 외숙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강력한 입김이 작용하여, 자신의 장남 아쓰아키라 친왕 대신 미치나가의 외손자인 아쓰나리 친왕(훗날 고이치조 천황)을 황태자로 삼아야 했다.[14][21]

산조 천황은 직접 정치를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으나, 재위 기간 내내 미치나가와의 갈등에 시달렸다. 조와 원년(1012년), 미치나가의 딸 후지와라노 겐시를 주고(中宮)로 맞이했지만, 동시에 오랫동안 자신을 지지해 온 후지와라 세이시를 황후(皇后)로 책봉하면서 미치나가와의 관계를 악화시켰다.[21] 게다가 겐시가 황자를 낳지 못하자 미치나가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21]

조와 3년(1014년)부터는 심각한 안질을 앓기 시작하여 시력을 거의 잃게 되었고,[24] 내리(內裏, 황궁)가 두 차례나 큰 화재로 소실되는[25][15] 등 불운이 겹쳤다. 미치나가는 천황의 건강 악화를 빌미로 끊임없이 양위를 압박했다.

결국 조와 5년(1016년), 산조 천황은 자신의 아들 아쓰아키라 친왕을 다음 황태자로 세운다는 조건을 내걸고 미치나가의 압력에 굴복하여 고이치조 천황에게 양위했다.[16][17] 이듬해인 칸닌 원년(1017년) 출가하였으나,[9] 얼마 지나지 않아 42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5] 법명은 산조인(三条院일본어)이다.[5]

산조 천황 사후, 양위 조건이었던 아들 아쓰아키라 친왕의 황태자 지위는 미치나가의 압력으로 오래가지 못하고 스스로 사퇴하는 비운을 맞았다.[21] 이로써 레이제이-엔유 양통 첩립 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산조 천황의 딸 테이시 내친왕이 훗날 고산조 천황을 낳으면서 그의 혈통은 황실 내에서 이어지게 되었다.

3. 1. 출생과 황태자 시절

레이제이 천황의 둘째 아들로, 덴엔 4년(976년)에 태어났다.[6] 즉위 전의 이름()은 이야사다 친왕(居貞親王일본어)[4][5]이었으며, 스케사다 친왕(すけさだ しんのう일본어)[6] 또는 오키사다 친왕(おきさだ しんのう일본어)[7]으로도 불렸다. 어머니는 셋쇼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딸인 후지와라노 초시(藤原超子, ?-982)이다.[9] 이복 형으로는 가잔 천황이 있다.[8]

7세 때 어머니 초시가 세상을 떠났고, 아버지 레이제이 천황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어[21] 후견이 불안정한 상태였다. 이후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저택에서 자랐다. 『오카가미』에 따르면, 외모가 가네이에와 매우 닮아 그의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

간나 2년(986년) 6월 23일, 가잔 천황이 갑작스럽게 출가하여 7세의 이치조 천황(이야사다 친왕의 사촌)에게 양위했다. 같은 해 7월 16일, 11세의 이야사다 친왕은 외할아버지 가네이에의 강력한 후원을 받아 황태자(도궁)로 책봉되었다.[23] 이는 당시 레이제이 계통과 엔유 계통이 교대로 황위를 잇는 양통질립의 관례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황태자가 천황보다 4살이나 많았기 때문에 '거꾸로 된 황태자'라는 의미의 '''사카사노 모케노키미'''(逆の儲けの君)라는 별명을 얻었다. 가네이에가 레이제이 계통인 이야사다 친왕을 황태자로 세운 배경에는, 엔유 천황과의 불화, 자신의 딸 초시가 레이제이 천황과의 사이에서 3명의 아들을 낳은 점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21] 또한 손자인 이치조 천황이 즉위하고 자신이 섭정이 되면서, 또 다른 손자인 이야사다 친왕까지 황태자로 만들어 권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도 있었다는 해석이 있다.[23]

황태자 시절, 그의 후궁에는 여러 여성이 들어왔다.

  • 989년 (에이소 3년): 숙모이기도 한 후지와라노 스이시(藤原綏子, 가네이에의 딸)가 입궁했다.
  • 991년 (쇼랴쿠 2년): 후지와라노 스미토키(藤原済時)의 딸 후지와라노 세이시(藤原娍子)가 입궁하여, 994년 (쇼랴쿠 5년) 장남 아쓰아키라 친왕(敦明親王)을 낳았다.
  • 995년 (쇼랴쿠 6년): 외삼촌 후지와라노 미치타카(藤原道隆)의 딸 후지와라노 겐시(藤原原子)가 입궁했으나, 먼저 입궁했던 스이시와 함께 일찍 세상을 떠났다.
  • 1010년 (간코 7년): 외삼촌이자 당시 권력자였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 후지와라노 겐시(藤原妍子)가 입궁했다.


이치조 천황의 치세 동안 외조부 가네이에 사후에는 외삼촌인 후지와라노 미치타카후지와라노 미치나가 형제가 차례로 정권을 장악하며 황태자 이야사다 친왕에게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3. 2. 즉위와 후지와라 가문의 압력

간코 8년(1011년) 6월 13일, 이치조 천황이 재위 25년 만에 병세가 위독해져 양위하자, 그의 사촌이자 황태자였던 이야사다 친왕이 36세의 나이로 즉위했다(산조 천황).[11] 하지만 황태자 자리에는 산조 천황의 장남 아쓰아키라 친왕이 아닌, 이치조 천황의 둘째 아들이자 당대 최고 권력자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외손자인 아쓰나리 친왕(훗날 고이치조 천황)이 책봉되었다. 이는 미치나가의 강력한 압력 때문이었다.[14][21] 산조 천황 즉위 직후인 6월 22일에는 이치조 상황이 32세로 승하했고,[12] 같은 해 10월 24일에는 아버지 레이제이 상황도 62세로 세상을 떠났다.[13]

산조 천황의 외조부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사후, 외숙인 후지와라노 미치타카후지와라노 미치나가 형제가 차례로 정권을 장악했다. 특히 미치나가는 이치조 천황 재위 기간부터 간파쿠(섭정)로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으며, 자신의 외손자인 아쓰나리 친왕을 하루빨리 즉위시키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15] 그는 산조 천황의 치세에도 섭정 지위를 유지하며[9] 권력을 놓지 않으려 했고, 1011년 8월에는 수레를 타고 궁궐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특권을 받기도 했다.[9]

산조 천황은 직접 정치를 하고자 했으나, 미치나가와의 관계는 시작부터 삐걱거렸다. 조와 원년(1012년), 산조 천황은 미치나가의 딸 후지와라노 겐시를 주고(중궁)로 삼았지만,[6] 동시에 오랜 기간 자신을 지지해 온 후지와라 세이시를 황후로 책봉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명백히 미치나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였으나, 결과적으로 미치나가의 불만을 샀다. 게다가 겐시가 아들이 아닌 딸 테이시 내친왕만을 출산하면서[21] 미치나가와 산조 천황의 관계는 결정적인 것이 되었다.[21]

조와 3년(1014년), 산조 천황은 안질을 앓기 시작하여 시력을 거의 잃는 지경에 이르렀다.[24] 미치나가는 이를 기회로 삼아 천황의 건강 문제를 명분으로 끊임없이 양위를 강요했다. 설상가상으로 1014년1015년내리(황궁)가 연이어 화재로 소실되는[25][15] 불운까지 겹치면서, 병세 악화와 미치나가의 계속되는 압박 속에서 산조 천황은 결국 양위를 결심하게 된다.

조와 5년(1016년) 1월 29일, 산조 천황은 자신의 아들인 아쓰아키라 친왕을 황태자로 세운다는 조건을 내걸고 미치나가의 요구를 받아들여, 아쓰나리 친왕(고이치조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이 되었다.[16][17]

3. 3. 잦은 화재와 질병

산조 천황의 재위 기간 중 황궁은 두 차례의 큰 화재를 겪었다.

  • 1014년 3월 12일 (''초와 3년, 2월 9일''): 황궁이 화재로 파괴되었다.[15]
  • 1015년 (''초와 4년, 9월''): 파괴된 궁궐의 재건이 완료되었다.[15]
  • 1015년 (''초와 4년, 11월''): 재건된 궁궐이 다시 큰 화재로 소실되었다.[15]


또한, 산조 천황은 재위 말년에 건강 문제에 시달렸다.

  • 1016년 (''초와 5년, 1월''): 산조 천황은 점점 시력이 나빠지는 등 건강이 악화되었다. 이는 결국 그가 40세의 나이로 양위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16]

3. 4. 양위와 죽음

조와 3년(1014년), 산조 천황은 안질을 앓기 시작했다. 일설에는 연단술의 일종인 선단(仙丹) 복용 직후 시력을 잃었다고도 한다.[24] 당시 최고 권력자였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천황의 안질을 명분 삼아 끊임없이 양위를 압박했다. 설상가상으로 이 해와 다음 해에 내리(천황의 거처)가 연이어 화재로 소실되는[25][15] 등 불운이 겹쳤다.

병세가 악화되자, 조와 5년(1016년) 1월, 산조 천황은 황후 후지와라 세이시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아츠아키라 친왕을 황태자로 세운다는 조건을 받아내는 대신, 미치나가의 양위 요구를 수락했다.[16] 1016년 3월 10일 (조와 5년 1월 29일), 재위 6년 만인 40세의 나이로 사촌인 아츠나리 친왕(고이치조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17][16]

이듬해인 칸닌 원년(1017년) 5월 27일 (칸닌 1년 4월 29일), 산조 상황은 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다.[9] 그러나 출가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017년 6월 5일 (칸닌 1년 5월 9일), 42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5]

양위 후 머물렀던 궁의 이름을 따서 사후에 산조인(三条院일본어)이라는 법명을 얻었다.[5] 이후 메이지 시대에 '인(院)'이 '천황'으로 바뀌어 현재의 시호가 되었다. 그의 능묘는 교토에 있으며, 궁내청은 이곳을 '기타야마노 미사사기'(北山陵)로 공식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9][1]

산조 천황이 양위 조건으로 내걸었던 아츠아키라 친왕의 황태자 지위는 오래가지 못했다. 같은 해 8월 9일, 아츠아키라 친왕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무언의 압력을 받아 스스로 황태자 자리를 사퇴했다.[21] 이로 인해 레이제이 천황엔유 천황의 계통이 번갈아 즉위하던 양통 첩립은 종지부를 찍고, 황위는 엔유 천황의 직계 후손에게 돌아갔다. 하지만 산조 천황의 딸인 테이시 내친왕이 훗날 고산조 천황을 낳으면서, 산조 천황의 혈통 역시 황실 내에서 이어지게 되었다.

4. 가족 관계

( 性信入道親王|쇼신 뉴도신노일본어 )1005년 ~ 1085년고묘쥬인( 光明寿院|고묘주인일본어 ), 출가 후 법명 세이신( 性信|쇼신일본어 ), 닌나지( 仁和寺|닌나지일본어 ) 제2대 주지중궁( 中宮|주구일본어 )후지와라노 겐시( 藤原妍子|후지와라노 겐시/겐코일본어 )994년 ~ 1027년후지와라노 미치나가( 藤原道長|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일본어 )의 딸자녀 (중궁 겐시 소생)제3황녀테이시 내친왕( 禎子内親王|데이시/사다코 나이신노일본어 )1013년 ~ 1094년요메이몬인( 陽明門院|요메이몬인일본어 ), 고스자쿠 천황( 後朱雀天皇|고스자쿠 텐노일본어 )의 황후, 고산조 천황( 後三条天皇|고산조 텐노일본어 )의 어머니뇨고( 女御|뇨고일본어 )
(동궁 시절)후지와라노 스이시( 藤原綏子|후지와라노 스이시일본어 )974년 ~ 1004년후지와라노 가네이에( 藤原兼家|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일본어 )의 딸뇨고( 女御|뇨고일본어 )
(동궁 시절)후지와라노 겐시( 藤原原子|후지와라노 겐시/모토코일본어 )약 980년 ~ 1002년후지와라노 미치타카( 藤原道隆|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일본어 )의 딸


5. 연호

산조 천황의 치세는 다음의 연호들로 더 구체적으로 특정된다.[6]

6. 평가 및 영향

양위 후 거처였던 후원(後院)의 이름을 따서 '삼조인'(三条院)이라는 추증호를 받았다. 그러나 다이쇼 시대 이후 천황에게 '인'(院) 자를 붙여 추증하는 제도가 폐지되면서, '삼조 천황'(三条天皇)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7. 능묘

(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기타구 키누가사 니시손조인정에 있는 '''기타야마릉'''(기타야마노미사사기)으로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 상의 형식은 원구이다.

키누가사 카가미이시정에 화장총이 있다(이치조 천황 화장총과 동일).

또한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 삼전의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모셔져 있다.

8. 와카

心にも あらでうき世に ながらへば 恋しかるべき 夜半の月かな|고코로니모 아라데 우키요니 나가라에바 고이시카루베키 요와노 쓰키카나일본어

백인일수에는 "마음에도 없이 덧없는 세상에 살아간다면 그리워할 밤의 달이여"라는 해석으로 실려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三条天皇 (67)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Gukanshō https://books.google[...] 1979
[4] 문서 Emperor Jomei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문서 Emperor Tenji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21] 서적 2010
[22] 서적 平安朝の女性と政治文化 宮廷・生活・ジェンダー 明石書店 2017
[23] 서적 2006
[24] 문서 毒物
[25] 문서 寛弘 1006
[26] 뉴스 木村達成、来年大河『光る君へ』に出演 六十七代・三条天皇役 https://www.oricon.c[...] ORICON 2023-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